NOVELOPINIONTrending

[Novel] – 한국 전쟁의 비극에서 빛나는 가장의 의지, 소설 ‘흰 종이 수염’

Illustration by Yunji Kim (NAS Dubai Y11)

by Yeeun Kang (GEMS Wellington International School Year 9)

소설 [흰 종이 수염]은 1950년대, 경상도 시골마을을 배경으로 하는 전후소설이다. 주인공 동길이와 동길이의 가족들의 생활을 통해 그 당시 한국의 상황과 시민들이 얼마나 힘든 세상에서 살았는지도 알 수 있다. 한국 전쟁의 피해는 막심했다. 한국군의 사망자, 부상자, 실종자까지 모두 포함하면 60만 9천여 명이었고, 북한군 사망자, 부상자, 실종자는 80만 명이었다. 민간인들의 경우는 사망자, 학살된 민간인, 부상, 납치, 행방불명 등의 이유로 100만여 명이 피해를 입게 되었다. 한국 전쟁 유족회와 학자들은 학살된 한국인만 100만 명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당시 남북한 전체 인구의 1/5이 피해를 입어 개인별로 보면 한 가족에 1명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사람들 뿐만 아니라 일반 공업 시설의 40%, 연료 공업의 89%, 화학공업의 70% 등의 피해를 입게 되었고, 이 전쟁은 실제로 전쟁터에 나갔던 사람들뿐만 아니라 시골에서 사는 사람들까지, 국민 모두에게 큰 아픔을 주었던 사건이었다. 이 소설의 배경인 1950년대 초반은 전쟁 때문에 일자리와 식량이 부족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때이다. 그리고 소설 속 목수였던 동길이의 아버지도 전쟁 때 노무자로 나갔다 부상을 입고 돌아온다. 

소설은 동길이가 사친회비를 내지 못해 학교에서 쫓겨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사친회비란 당시 학생들이 학교에 다니려면 필수적으로 내야 했던 돈이고, 동길은 아빠가 전쟁터에 징용으로 나갔기 때문에 돈을 몇 달간 내지 못하고 있었다. 결국 동길은 학교에서 쫓겨났지만 주눅 들지 않고 애들과 씩씩하게 학교에서 걸어 나온다. 집으로 가는 도중, 친구와 냇물에서 멱을 감은 동길이는 지나가는 기차를 보며 자신의 아빠도 곧 돌아올 것이라 믿는다. 집에 돌아온 동길은 2년 만에 돌아와 누워있던 아빠를 발견하지만 곧 한쪽 팔을 잃은 아버지의 모습에 두려움을 느낀다. 하지만 걱정도 잠시, 하루 종일 친구와 냇가에서 놀다 온 동길이는 배고픔에 저녁으로 나온 수제비를 정신없이 먹는다. 다음 날 동길이는 학교는 어떻냐는 아빠의 질문에 학교에 사친회비를 내지 못해 쫓겼다는 사실을 고백한다. 아빠는 동길이가 학교를 그만두겠다는 말을 듣고 화를 내며 자신이 학교를 가보겠다며 다시 돌려놓겠다고 장담을 했다. 실제로 아빠는 다음날 학교에 가서 그동안의 사정을 말하고 돌아온다. 하지만 학교에 온 동길이의 아빠를 본 친구들은 동길의 아빠가 외팔뚝이라며 놀리고, 동길도 무시하며 깔본다. 속상하지만 속상한 것을 티 내지 않고 학교에 다니던 동길은 학교에서 집으로 가는 길에 광고판을 짊어지고 피에로 분장을 한 채 우스꽝스러운 노래와 춤을 추고 있는 한 사람을 발견하고 다가가지만 그 사람이 아빠라는 것을 깨닫는다. 이를 알아차린 동길의 친구들은 또다시 동길을 놀리기 시작하고, 그중 창식이가 아빠에게 일부러 무례하고 버릇없이 굴자 동길은 그동안 참아왔던 모든 울분을 대판 싸우며 푼다. 이를 본 동길의 아빠는 아들이 싸우는 것을 원치 않아 턱에 붙인 종이 수염이 떨어지는 것도 모른 채 동길이와 창식이의 싸움을 말리며 소설이 끝난다.

전쟁으로 인해 징용으로 전쟁에 참가해야 했던 동길의 아빠는 평소에도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을 많이 느꼈을 것이다. 한 팔을 잃은 채 집에 돌아와야 했던 아빠의 심정은 어땠을까? 자신이 이 가정을 책임지고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생각과 동시에 팔을 잃어 미안한 마음도 들지 않았을까? 나는 동길이의 아빠가 동길이 학교를 그만둔다는 소식에 한걸음에 학교를 찾아가고, 또 창식이와 싸웠을 때도 싸움을 말리는 것을 보며 평소에 얼마나 많은 책임감을 가지며 생활했는지 느낄 수 있었다. 원래 목수였던 아빠가, 광대로서 극장에 취직한 것을 보며 아빠는, 동길이는, 동길이의 엄마는 모두 어땠을까 생각해보게 됐다. 동길이의 아버지는 극장일에 취직했다며 좋아하지만, 뒤로 누워 눈물을 흘리는 것을 보면 마냥 좋지만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이런 일이라도 하게 된 것을 기뻐했지만 한편으로는 팔을 잃어 극장의 광대로 취직했다는 사실이 서럽게 느껴졌을 것이다. 또 전쟁이 한 가정에게 주는 영향력이 얼마나 큰 지도 느꼈다.

소설의 곳곳에 표현된 동길이의 성격을 보면 나중에 정말 훌륭한 어른이 될 것 같다. 또 우리라면 어땠을까 싶기도 했다. 만약 2년 만에 돌아온 아빠가 한쪽 팔을 잃은 채 오신다면, 속상하고 슬프겠지만 한편으로는 다른 사람에게 들키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반면, 어린 동길이의 순수한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동길이가 아버지가 팔을 잃은 것을 보고 놀랐지만 그 사실보다 배고파서 수제비를 맛있게 먹는 모습은 동길이도 결국 아직 어린아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모습이 순수하게 비쳤다. 마지막 문장에 등장한 흰 종이 수염은 굉장히 인상 깊었는데, 흰 종이 수염은 광대로 극장에 취직한 동길이의 아버지의 모습을 나타낼 수 있는 단어이다. 극장에 취직했다며 좋아하지만 뒤로 돌아 눈물을 흘렸던 아버지의 책임감을 뜻하고, 당시 비참한 삶을 상징하기도 한다. 하지만 동길이네 가족은 전쟁의 비극 속에서도 현실을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도 엿볼 수 있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은 뒷이야기를 말하지 않고 싸움을 말리는 동길이의 아빠의 모습으로 끝이 나서 여운이 길게 남는 소설이었다. 현재 대한민국은 선국의 반열에 올랐다. 이 소설은 전쟁도 빼앗을 수 없었던 가족 간의 사랑과 가장의 책임감을 알려주었던 소설이었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며 전쟁의 서러움과 동길이의 아빠가 가장으로서 가지는 책임감이 얼마나 무거웠는지 느끼며 부모님의 은혜에 한번 더 감사함을 느꼈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