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점점 높아지는 한국의 “젊은 치매”…해결 방안은?

10년간 한국에서의 조발성 치매 환자 수 약 3.6배로 늘어

치매 예방에 좋은 습관

< FREEPIK 제공 >

[객원 에디터 7기 | 정서현 기자] 최근 한국에서 “젊은 치매”라고 불리는 조발성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조발성 치매란 65세 이전에 발생하는 치매를 부르는 말로, 흔히 치매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조발성 치매는 최근까지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조발성 치매 환자는 전체 치매환자의 약 8% 정도이며, 환자수는 10년간 약 3.6배 증가하고 있어 한국 사회에서 그 위험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조발성 치매 환자는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는 연령층에 발생하므로 환자는 경제활동 경력이 끊기고 환자의 가족들은 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더 나아가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는 연령층의 조발성 치매 발병률이 높아지게 되면 사회・경제적으로 한국 사회 전체의 부담이 커진다.

특히 조발성 치매는 노인성 치매보다 증상이 빨리 악화된다는 점에서 노인성 치매보다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인지기능저하(기억력 감퇴 등)뿐만 아니라 언어 장애, 운동 장애 등 증상이 다양하여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데, 현재 치매 관련 국내 연구는 대부분 노인성 치매에 집중되어 있어 조발성 치매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과 통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국내 환자의 정확한 임상, 유전적 특성 파악을 통한 예방, 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국립보건연구원은 ‘21년부터 전국 31개 병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조발성 치매 코호트(cohort, 특정 기간에 태어나거나 결혼을 한 사람들의 집단과 같이 통계상의 특별한 요소를 공유하는 집단)’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매년 대대적인 추적 검사로 환자의 임상증상뿐만 아니라 바이오마커(몸속 세포나 혈관, 단백질, DNA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변화 등을 관찰하고 있으며, 질병 경과 및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국립보건연구원은 덧붙였다. 

더불어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조발성 치매는 노인성 치매와 더불어 국가가 앞장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라며 “국립보건연구원은 지속적인 코호트 연구를 통해 질병 예방, 관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 생산을 이어나가고, 코호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원과 임상 정보는 더 많은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 분양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이러한 국가적인 노력과 함께 개인적으로 조발성 치매에 대응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대한치매협회에서는 첫 번째로 활발한 두뇌 활동을 꼽는다. 날마다 일기를 쓰거나, 새로운 취미를 배우거나, 몇 가지 좋아하는 글들을 외우는 행동들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는 운동과 적절한 식습관이다. 서울시식품안전정보에 따르면, 견과류, 해산물, 푸른색 채소, 그리고 짙은 색 과일과 채소는 뇌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치매를 더 빨리 예방할 수 있다. 운동은 가볍게 걷는 것, 복식 호흡, 유산소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권하고 있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