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윤석열 대통령 G7 회의 참석 후, 한·중 경제 전망

<Pexels 제공>

[객원 에디터 5기 / 임시원 기자] 일본이 올해 의장국이 된 세계 7개국(G7) 정상회의가 지난 5월 19일부터 21일까지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됐다. 올해도 한국은 참관국(옵서버) 자격으로 초대됐다. 2021년, 영국 콘월에서 열린 G7을 포함해 벌써 네 번째 참석이다.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는 국제 정세에 많은 변화의 변수를 남겼다. 기본적으로 중국과 러시아 견제를 위한 서방의 ‘역사적 단결’을 과시하며 지난 21일 마무리 됐다. 이번 공동성명은 미•중 간 전략 경쟁을 넘어 서방 대 중-러 간 진영 대결로 이어지는 신냉전 기류 속에 서방 선진국 클럽의 단합을 재확인한 것이라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G7 움직임에 대해 중국은 “강렬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명하고, 러시아도 “우리를 상대로 한 선전포고에 확고히 대응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또한 G7 정상회의와 이를 계기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 이후 중국은 한국에 대한 견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G7 폐막 직후인 22일 류진쑹(刘劲松) 외교부 아주사(司·국) 사장은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최용준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국장급 협의를 개최했다.

반면 껄끄러운 사이였던 중국과 호주도 장관급 교류를 시작했다. 지난해 페니 웡 호주 외교 장관이 중국을 방문했고, 오는 7월 친 부장이 답방 형식으로 호주를 방문할 예정이다. 양국 통상 장관도 회담을 개최했다. 더불어 미국과 일본도 중국과의 외교 채널을 통해 소통을 계속하고 있다. 외교가에서는 지난달 중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시 주석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간 정상회담과 관련한 논의가 있었는지를 주목하고 있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는 “우리 정부가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이 심화하는 구도 아래에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대북 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미일 협력을 강화해 왔기 때문에 중국과는 구조적으로 도전 요인이 증가해 왔던 것이 사실”이라며 “다른 나라들이 미국과의 전략적 신뢰를 바탕으로 중국과 경제적 협력을 논의하고 있고, 이러한 흐름에서 당연히 정책적으로 검토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특별히 대중국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중국이 만약 내수시장 확대로 대응하기로 결정하고 시장 문을 걸어 잠글 경우, 그 결과로 인한 큰 손실이 예상된다.

12일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달 대 중국 수출은 0.8% 감소했다. 반도체, 무선통신기기에 대한 호조세는 이어졌지만, 중국 내 코로나19 봉쇄 조치로 시장이 침체되고 소비 심리가 위축됐다.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의 대(對) 중국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8.9% 급감했다. 

중국의 내수 강화 산업정책과 수입구조 재편이 이어지면, 중간재와 가공무역 위주의 우리 수출 경쟁력은 갈수록 약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중 자유무역협정 업그레이드 협상 등을 통한 대중 수출을 확대하려면 우선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가 급선무다. 

국제 정세가 급히 돌아가는 상황에서 중국 공급망에 큰 차질이 발생하기 전 중국과의 관계를 가능한 빠른 시일 내 정립할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