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INION

[Social] – 우리는 자주민이다. 3·1운동의 외침

Illustration by Yunji Kim (NAS Dubai Year 11)

by Kyuin Kim (DAA Grade 10)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아 가슴 아픈 일들이 많이 일어났다. 일본은 우리에게 모든 걸 일본식으로 바꾸라고 협박하고 자유를 억압하고 폭행하는 등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여성들을 성 노예로 부리는 위안부 사건도 있었고, 강제 노역에 시달리던 청년들도 있었다. 35년간의 일제강점기는 지금까지 아픈 역사로 남아있지만 그 안에서 보여준 시민들의 외침은 뭉클한 감동을 남겨 지금의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왕조국가였던 조선은 백성들이 수동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일본은 1910년대 헌병을 앞세워 무단통치를 해왔고, 이에 국민들을 무차별적으로 억압하고 폭행했다. 한국들이 모이면 계획을 세워 독립할 궁리를 할까 봐 세 명 이상 모이지도 못하게 하였으며 일본 순사를 앞세워 우리에게 어떠한 자유도 허락되지 않았다. 이러한 일본은 경제적 수탈도 빼먹지 않았다. 조선의 토지를 수탈하기 위해  일본은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차리고 토지 조사 사업을 했다. 현대식으로 관리하기 위해 땅을 신고를 하라는 것인데, 그것을 지주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고 절차가 복잡하여 강제로 뺏은 거나 다름없었다. 또한 1919년 1월 말, 고종의 승하 소식과 함께 일본이 독살한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국민들은 더 이상 참을 수 없었고 독립에 대한 갈망은 더욱 짙어졌다. 

마침 세계정세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1918년 11월 11일 1차 세계대전 종식 이후 33개국의 연합국은 패전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19년 1월에 파리강화회의를 하였고, 여기에서 미국의 대통령인 우드로 윌슨이 평화 14개조를 발표하였다. 그 중 ‘민족자결주의’ (한 민족이 그들 국가의 독립 문제를 스스로 결정짓게 하자는 원칙)은 우리 국민들에게 희망을 안겨 주었다. 물론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패전국의 식민지에게 적용되는 불완전한 선언이었지만 일본에서 공부하던 유학생들은 이 소식을 듣고  2.8독립 선언문을 작성하게 된다. 

3.1운동의 시작은 민족대표를 결성하면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의 독립운동가들이 모두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터라 종교단체 (천도교, 기독교, 불교 )로 구성된 33인의 민족대표를 구성하였다. 거사 일은 사람들이 많이 모여드는 3월 3일인 고종의 장례식에 맞춰 이틀 전인 3월 1일에 평화시위를 하기로 결정했다. 더 정확히는 3월 1일 토요일 오후 2시, 탑골공원 팔각정에서 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일본 헌병과의 유혈사태가 우려된 민족대표들은 장소를 급하게 인사동의 태화관으로 바꿔 그곳에서 선언문을 낭독하고 자진 경시청으로 끌려갔다. 다행히도 선언문을 전달하던 정재용의 주머니에 선언문이 있었고, 장소가 바뀌어 군중들이 혼란에 빠지자 학생들을 대표하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만세운동은 7개 도시에서 일어났고, 약 200만 명의 국민들이 한목소리로 독립을 외쳤다. 이 일을 계기로 수동적이었던 왕조 치하에 살던 국민들이 스스로 나라를 지키는 ‘자주민’으로 거듭난 것이다. 

이후 일본의 통치방식은 180도 달라졌다. 1910년대 국민들이 시달리던 무단통치에서 1920년대 문화통치로 변화시켰다. 문화통치는 우리나라의 문화와 관습을 존중하며 한국인들의 행동을 자유롭게 풀어주는 통치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우리 국민을 분열시키려는 전략으로 일본인들의 속셈이 숨겨져있었다. 이 기간 동안 경찰의 수는 더욱 늘어났으며 친일파를 양성하여 우리 민족 간 분열을 유도한 것이다. 다행히도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1911년 간도에서 독립군 양성 학교인 ‘신흥무관학교’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군사훈련을 받기 시작했다. 독립투쟁을 하면서 1920년 청산리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뒀고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 정규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 이러한 결과는 홍범도, 김좌진 장군 이외의 무관학교 생도들이 있었기에 가능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국민들은 독립이라는 더욱더 큰 희망을 품기 시작했다. 또한, 3.1 운동은 같은 처지의 주변국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중국의 5. 4운동과 인도의 평화시위 등 해외에서도 이런저런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자주민이 없었더라면 3.1운동도 없었고 3.1운동이 없었더라면 우리나라의 독립도 없었을 것이다. 2천만 1/10인 국민 중 200만 명 이상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만세시위를 한 행동은 우리의 의견을 표현하는 방법이었다. 국민들이 스스로 나라를 지킨 것이다. 현재 우리는 100여 년 전의 열사들처럼 국가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고 다가올 미래가 우리 어깨에 달렸다는 것을 깨닫고 우리나라를 위해 열심히 살아가야 한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