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ORA FEATURESBUSINESSENGLISH

Consumption of major Korean mainstream contents increases amid the COVID-19 crisis

Music vector created by pikisuperstar – www.freepik.com

[ WISDOM AGORA / Seunghoo Jung ] The world is currently facing a global pandemic on a scale which no one could predict. However, during such times of hardship, Korean mainstream tv shows, entertainment, gaming and other contents have seen an unbelievable rise in consumption.

On the 28th of January 2021,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ublished the 2021 Overseas Korean mainstream report which presented the Korean mainstream consumption status.

<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 비중 >

< 표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 코로나19 이전 대비 소비량 증감>

< 표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

Originally, the highest consumption rates of Korean mainstream culture was tv shows (29.7%), Cosmetics (27.5%), Entertainment (26.9%), fashion (24.8%).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highest consumption rates became Entertainment (48%), tv shows (47.9%), Games (45.8%). The theory is that due to the COVID-19, outdoor actions and entertainment became extremely limited so in turn, the consumption of online entertainment saw a substantial increase.

Amongst the Korean Consumer market, the top tv show consumption rates were: Crash Landing on you (9.5%), It’s okay to Not be okay (4.1%) and The World of the Married (2.8%). The top film consumption rates were: Parasite (18.4%), Train to Busan (10.2%) and Peninsula (3.5%). Amongst the K-pop artists were BTS (22.0%), Black Pink (13.5%) and Psy (2.9%).

For the past 5 years, online consumption of Korean Mainstream culture has been increasing with Korean tv shows, Entertainment, Film, Music, animation and more. The most popular outlet in 2020 being music with a consumption rate of 82.0%.

In the survey the ‘Brand Power Index’ was introduced as a comprehensive index that considers possible areas for future expansion. The top choices were Food (65.3 points), Cosmetics (62.4 points) and Music (62.0 points). Most of the choices were outlets that did not require the consumer to have a fluency in Korean.

In addition, a pattern that was identified was that with the increase of people experiencing Korean Mainstream culture, the number of new consumers also increased due to word to mouth advertis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ways factors that hinder the affinity for a different mainstream media. For Korea, the ‘inconvenience of translation, subbing and dubbing’, ‘the difficulty and unfamiliarity of korean’,’the insufficient translation to one’s language’ and other issues that related to the language barrier became the top 2 reasons. However, experts should keep in mind the fact that the consumers consider korean as a representation and a unique personality of the culture.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re raising their investment of 2.9 billion korean won in the quality of subbing and translation from last year to 4 billion korean won this year in order to resolve the language difficulties. Also, with the expansion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the dispatch of Korena teachers and support of online classes, the ministry is planning on presenting opportunities to learn the language. In addition, they will scientifically analyze the consumption status overseas and identify trend informaiton.


< COVID-19 위기 속에서 주요 한국 주류 콘텐츠 소비 증가 >

[ 위즈덤 아고라 / 정승후 기자 ] 세계는 현재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규모의 전염병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난의 시기에, 한국의 주류 TV 쇼, 오락, 게임, 그리고 다른 콘텐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성장했다.

1월 28일,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 주류 소비 현황을 제시한 ‘2021년 해외 한인 주류 보고서’를 발간했다.

당초 한국 주류문화의 소비율이 가장 높았던 분야는 TV 쇼(29.7%), 화장품(27.5%), 엔터테인먼트(26.9%), 패션(24.8%) 순이었다. 하지만 COVID-19 전염병 후, 가장 높은 소비율은 엔터테인먼트(48%), TV 프로그램(47.9%), 게임(45.8%)이 되었다. COVID-19로 인해 야외 활동 및 엔터테인먼트가 극도로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온라인 엔터테인먼트의 소비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한국 소비자 시장 중 가장 높은 TV 쇼는: “당신에게 추락하는 것” (9.5%), “괜찮아지지 않는 것” (4.1%), “결혼한 사람들의 세계” (2.8%)였다. 영화 분야에서는 기생충(18.4%), 부산행 (10.2%), 반도(3.5%) 순이었다. 케이팝 스타로는 방탄소년단(22.0%), 블랙핑크(13.5%), 싸이(2.9%) 등이 꼽혔다.

지난 5년 동안, 한국의 TV 프로그램, 엔터테인먼트,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등과 함께 온라인을 통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0년에 가장 인기 있는 분야는 음악으로 82.0%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에서 ‘브랜드 파워 지수’는 향후 확장 가능한 분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했다.  1위는 식품(65.3점), 화장품(62.4점), 음악(62.0점) 순이었다. 대부분의 선택은 소비자가 한국어를 유창하게 할 필요가 없는 분야였다.

또한 한류 문화를 체험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입소문 광고로 인해 신규 소비자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류 콘텐츠의 호감도 저해 요인으로 ‘번역·자막·더빙 등 시청 불편’, ‘어렵고 생소한 한국어’, ‘자국어 번역 미흡’ 등 언어적 문제가 1~2위를 차지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한류 소비자들이 한국어를 한류 콘텐츠의 대표적 상징이자 독자적인 개성으로 인식하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문화 체육관광부는 언어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양질의 자막과 번역, 더빙 등을 지원하는 관련 사업 규모를 작년 약 29억 원에서 올해 약 40억 원으로 확대한다. 동시에 세종학당 확대와 한국어 교원 파견 등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온라인 학습 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더불어 해외 한류 소비자들의 소비 현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동향 정보를 파악하는 일도 추진할 예정이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