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한국인의 정, 이제는 개인주의?

<Illustration by Rina Kang 2010(강린아) >

[객원 에디터 6기 / 이수아 기자]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는 ‘우리’라는 집단적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이 강조되는 집단주의적 문화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연구 결과들은 이러한 집단주의적 가치가 점차 약해지고 개인주의적 가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경제 개발, 급속한 도시화, 교육의 팽창,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등은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증가시켰고, 이는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가치 사이의 갈등을 낳으며 사회구조의 변동을 가져왔다. 이런 요인들은 개인주의적 태도를 촉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내외 여러 연구기관의 조사 및 논문 역시 최근의 한국 사회 내 개인주의 경향에 대해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한국 내 개인주의의 부상은 시민의식의 변화, 경제발전, 세계화 및 디지털 문화의 확산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김정오 서울대 교수는 “한국은 1970-80년대는 대표적인 집단주의적인 국가였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미국 못지않은 개인주의적인 국가가 되었다”라고 지적했다. 헤르만 호프스테드 교수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인의 문화적 성향을 분석한 결과, 1970년대 한국은 18점/100점으로 개인주의 점수가 낮았으나, 2002년 오이스만 교수가 정체성에 관한 연구논문 83편을 종합해 분석한 결과와 비교할 때, 한국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간의 큰 차이가 없는 나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 내 개인주의적 성향이 크게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더 나아가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에서 2018년 발행한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문화적 성향에 대해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적 성향뿐만 아니라 집단주의적 성향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는 국내 연구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총 41개의 연구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개인주의 성향보다는 집단주의 성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하지만 그 차이는 중간 크기 범위에 속했다. 연구 참가자들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그리고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척도 내용에 따라 문화적 성향 간의 차이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개인주의적 성격이 단순한 ‘서구화’의 결과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들과 역사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경제 발전과 더불어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중시되기 시작한 현대 사회에서 한국인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과정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함께 더욱 가속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개인의 목소리와 취향의 표출은 개인주의적 경향을 더욱 강화시키는 한편, 이로 인한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한국 사회의 이러한 복합적인 변화 양상은 향후 한국의 사회적, 문화적 연구뿐만 아니라 정책 수립에 있어서도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이 중시되는 사회적 트렌드 속에서도 기존의 공동체적 가치와 조화를 이루며 건전한 사회 구성을 위한 논의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