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ORA FEATURESWORLD

위안부 비하 논문, 하버드대 출신 한국학 교수 조목조목 반박…

일본에 대한 한국의 오랜 반감, 불신, 증오에 불을 지른 논문일 뿐.

강제로, 속아서 위안부가 됐는지에 대해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아

Illustration by Eujean Cha

[ 위즈덤 아고라 / 전시현 객원기자 ] 미국 하버드대 석·박사 출신 한국학 전문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라고 폄하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 법대 ‘미쓰비시 일본 법학’ 교수 논문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반박하는 칼럼을 정부 대표 다국어포털 ‘코리아넷’에 기고했다.

램지어 교수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사회 자본과 기회주의적 리더십의 문제점: 재일한국인의 사례’에는 일본인이 재일교포를 차별하는 것이 재일교포의 잘못이라는 취지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서 지난 1948년 제주 4·3 사건 당시 한국의 공산주의 세력이 정부 탄압을 피해 일본으로 밀항했고 이들이 재일한국인의 주류가 됐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재일한국인 사회를 좌우했고 이로 인해 일본인들과의 갈등이 극심해졌다는 논리로, 재일한국인들 스스로 차별을 야기했다는 것이다. 그는 “재일한국인들은 스스로 적대감, 차별을 불러일으켰다”라면서 위안부가 매춘부라는 발언까지 하여 국내는 물론 국제적인 비난을 받고 있다.

마크 피터슨(Mark Peterson) 브리검영 대학(Brigham Young University) 명예교수는 2월 17일(수), ‘위안부, 다시 한국을 자극하는 일본’이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2차 세계 대전 당시 행위를 두둔하는 일본의 추한 모습이 2021년에도 다시 한번 고개를 들고 있다.”라고 글을 시작하며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비판했다. 

피터슨 교수는 “램지어 교수 논문의 문제점은 피해자들이 어떻게 강제로 또는 속아서 위안부가 됐는지에 대해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고 변호사들만 읽을 수 있는 법적인 주제로만 국한시켰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로 끌려간 피해자들의 사연은 한국 어디서나 찾아볼 수 있다.”라며 일제 강점기 때 위안부 강제동원을 피하려고 하얼빈의 삼촌집으로 보내진 가사도우미 아주머니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어 “이 논문은 국가가 허가한 유곽에서 이뤄진 매춘에 관한 법적인 문제에 대해서만 논하고 있다. 법적인 문제 외에는 위안부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하려 하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자는 일본이 전시에 저지른 여성 착취 범죄 상황 전반에 대해서는 논하고자 하지 않는다. 잠시 쉬었다는 이유로, 병을 옮기거나 임신을 했다는 이유로 위안부들을 난폭하게 때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위안소의 잔인한 면은 ‘위험하다’ 정도로 적힌 것이 전부”라며 편파적인 내용을 지적했다.  

그는 일제가 저지른 난징대학살을 언급하면서 “일본군은 전투를 치른 뒤 여자들을 강간하고 사람들을 죽이며 난동을 부렸다. 일본 정부가 자국 병사들의 성욕 해소를 위한 수단으로 위안소 운영을 강화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피터슨 교수는 “법학자는 전쟁 시의 법적인 문제에 대해 다룰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삶과 이미 작고한 위안부 여성들에 대한 명예를 훼손하고 서로 골이 깊어진 두 이웃 국가 간의 불신과 증오에 불을 지피는 것이라면, 이 논문은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라며, “문제를 단편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굉장한 폐해를 낳고 있다. 그의 논문은 일본에 대한 한국의 오랜 반감, 불신, 증오에 불을 질렀다.”라고 했다. 피터슨 교수는 “과연 언제쯤 일본과 일본을 대표하는 모든 이들이 20세기 초 자국이 저지른 전범행위에 대한 정당화를 중단하고 ‘미안하다’고 말할까”라며 글을 끝맺었다.한편, 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이었던 독일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만행에 대해 사과하고 매년 경의를 표하며 머리를 숙이며 현재는 EU를 이끄는 중심국가가 되었다. 유대인 100만 명이 학살당했던 아우슈비츠 수용소는 박물관으로 만들었고 홀로코스트에 대해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본은 과거사를 지우기 바쁘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입장을 고집해왔으며 전범국가로서 보여야 할 사죄와 동정과는 멀찍이 거리를 두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