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6•25 참전 22국 연대 상징인 ‘아리랑 스카프’, 복원

6•25 참전 22국 연대 상징

역사가 담긴 아리랑 스카프

< 국가보훈처 제공 >

[객원 에디터 5기/황예람 기자]6·25 전쟁 당시 외국 참전군인들 대상으로 제작되었던 참전 기념품, 아리랑 스카프. 우리 민족의 역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22개국 유엔 참전용사들과 한국군을 하나로 묶은 상징과도 같은 아리랑 스카프가 70년 만에 복원됐다. 

 아리랑 스카프는 한국과 유엔 참전국 간의 ‘연대의 상징’이다. 처음에는 아리랑 가사가 없는 형태였지만, 1951년부터 아리랑 악보가 실렸다. 아리랑은 전쟁 당시 한국군과 유엔 연합군 모두를 하나로 묶어주었는데, 나라마다 군가가 각각 달랐던 유엔 연합군은 전장에서 배운 아리랑을 흥얼거리며 서로 하나가 될 수 있었고, 미 7사단은 아리랑을 군가로 채택하기도 했다. 

<국가보훈부, ‘아리랑 스카프’ 복원, 국가보훈부 제공>

국가보훈부는 25일 “1951년 제작되어 6·25 전쟁에 참전한 유엔 참전용사들이 고국의 어머니와 부인에게 보낸 인기 기념품 아리랑 스카프를 70년 만에 원형으로 복원했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복원한 스카프에는 1953년의 정전협정 이후 70년 동안 변화한 대한민국의 발전된 모습과 22개 참전국들의 국기를 모두 새겼다. 

스카프는 흰 비단에 용 한 마리가 휘감고 있는 한반도 지도와 참전국들 부대 마크 사이에 아리랑 악보와 영어로 번역된 제목이 새겨져 있고 태극기 등 참전 국가의 국기가 둘러져 있다. 이는 마치 참전용사들이 하나로 뭉쳐 있는 듯한 형상을 띄고 있어 완성도가 높고 역사적 가치가 있다. 

현재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는 아리랑 스카프에는 전쟁에서 전사한 미군 참전 용사의 사연이 담겨 있다. 미국 클라이드 부인은 1952년 아들인 클라이드 상병이 어머니의 건강을 걱정하며 편지와 함께 보낸 이 스카프를 결국 돌아오지 못한 아들이 생각날 때마다 손에 쥐고 아리랑 가사를 흥얼거렸다고 한다. 클라이드 상병은 어머니에게 제대가 얼마 남지 않았으니 건강하게 기다려 달라며 스카프에 적힌 아리랑을 소개했지만 전사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박민식 보훈부 장관은 “아리랑 스카프는 동맹국의 위대한 연대를 알리는 상징물로 자유의 가치, 연대의 역사를 잊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 복원했다”라고 말했다. 이에 더해 “이 스카프에 담긴 자유의 가치, 연대의 역사를 잊지 않고 기억해 미래 세대에까지 이어가게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부산에서 열리는 정전협정 70주년 유엔군 참전의 날 기념행사는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질 예정이다. 대한민국의 발전된 현재는 절대 쉽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한국군과 유엔 참전용사분들의 희생과 헌신을 포함한 많은 이들의 피와 노력이 뭉쳐서 지금의 우리가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사실을 잊지 않고 감사하며 앞으로 한 발짝 더 나아갈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