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세상에서 가장 과학적인 언어, 한글

과학적인 창제방법

훈민정음 해례본, 세계문화유산

다양한 한글날 기념 이벤트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객원에디터 2기 / 강예은 기자] 조선 세종, 1446년에 창제되어 우리나라의 고유 글자가 된 한글은 그동안 많은 시련을 겪어왔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당시에도 최만리를 비롯한 많은 신하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은 오랑캐나 하는 짓’이라며 반대했고, 1940년 훈민정음해례본이 발견될 때까지는 한글의 제작과정을 알 수 없어 한글이 고대글자를 모방했다는 설과 일본의  ‘한글은 세종이 화장실에 있다가 창호지의 문양을 보고 따온 것이다’라는 허무맹랑한 주장을 들어야 했다. 하지만 훈민정음해례본을 통해 이제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했던 원리와 목적을 알 수 있다. 

한자를 알지 못해 백성들이 생활에 여러 불편함과 억울함을 겪는 것을 본 세종대왕은 누구나 알기 쉬운 글자 훈민정음을 창제하기 시작한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아름다운 소리’라는 뜻으로, 백성들을 사랑하는 세종대왕의 마음을 잘 알 수 있다. 한글은 모음과 자음, 총 28자로 이루어져 있고, 비교적 적은 수의 글자로도 모든 소리를 표현할 수 있어 의성어와 의태어를 많이 쓸 수 있는 언어이다.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가 담겨있는 훈민정음해례본에는 한글이 인체의 발음기관을 본 따 만든 것을 알려주고 있다. 자음의 경우는 혀, 입술, 목구멍 등의 모습을 상형화하여 만들어졌다. 각각의 자음을 발음할 때 생기는 모양을 보고 만든 것이다. 또, 모음의 형태는 하늘(·), 땅(ㅡ), 그리고 사람(ㅣ)을 본떠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훈민정음의 28글자는 모두 자연과 인체와 관련된 모습을 하고 있다. 

현재 한글은 국보 제70호이면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되어있는데, 인류 역사상 최초로 백성을 위해 계획적으로 창제된 언어이자 이례적으로 발음기관을 본떠 만든 언어인 점에서 세계의 여러 사람은 한글의 우수성을 극찬하고 있다. 또, 훈민정음해례본이 공개되며 만든 목적과 원리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언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훈민정음해례본 NFT 판매로 인해 미술계가 발칵 뒤집히는 사건이 있었다. 훈민정음을 대체 불가능 토큰인 NFT로 만든 사진 파일을 1억 원에 살 수 있게 된 것인데, 컴퓨터 파일이지만 고유 번호가 붙어있고, 그로 인해 원본성과 소유권이 보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몇 개든 복사하고 누구에게든 전송할 수 있는 일반 파일과는 다른 점이다. 

훈민정음해례본을 관리 중인 간송 미술관은 훈민정음해례본의 NFT를 총 100개를 제작해 개당 1억 원의 가격에 판매한다고 밝혔다. 이 대체 불가능 토큰, NFT는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파일에 원본성을 넣는 것이다. 원본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이 해례본 NFT는 그저 복제품에 불과했겠지만, 원본성이 있기 때문에 1억 원이라는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NFT 판매에 대해 찬반 여론은 파다하다. 국보가 NFT로 제작되는 것은 전례 없는 일이기 때문에 논란이 일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글날(10월 9일)을 기념하여 매년 여러 가지의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 2020년에는 리니지M, 서든어택과 검은사막 모바일을 비롯한 많은 게임사가 이벤트를 열어 화제가 되었다. 게임 속에서는 훈, 민, 정, 음을 이름으로 하는 몬스터가 나타나기도 하고, 훈민정음 방패와 한글의 자음인 기역(ㄱ)과 키읔(ㅋ) 모양의 무기를 주기도 한다. 심지어 한 게임사는 한글날을 기념하여 전용 서체를 만드는 등 여러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가 많이 나오고 있어 올해는 어떤 방법으로 한글을 알릴 수 있을지 기대되는 바이다. 

한글이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평소에 사용하는 우리의 언어 한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더 많이 필요한 시점이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