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디지털 시대,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는가? 

디지털 기술 발전과 초연결 사회의 상관관계

<Illustration by Yeony Jung 2006(정연이) >

[객원 에디터 7기/오민경 기자] 눈 깜짝할 사이에 발전한 디지털 기술은 우리의 생활에 자연스레 스며들어 인간의 삶을 뒤바꿔 놓았다. 인터넷의 등장부터 스마트폰의 보편화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상호 연결은 수많은 변화를 겪었다. 남아 있는 질문은, 이러한 기술 발전이 진정 우리를 그 어느 때보다 연결되게 했는지, 아니면 오히려 단절 상태로 몰아넣었는지이다.

연결의 역설
디지털 기술은 먼 거리에 거친 소통을 촉진하여 지리적 경계에 상관없이 그 어떤 사람과도 연락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들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지구 반대편에 살고 있는 친구 또는 가족들과 관계를 유지하며 삶의 세세한 부분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만들어 디지털 영역에서 관계를 발전하는 가상 만남의 장소가 되었다.

그러나, 우리를 하나로 모으기 위해 창조된 소셜 미디어는 예상치 못한 모순, 즉 초연결 속 단절의 역설을 낳기도 했다. 온라인에는 수백 또는 수만 명의 “친구” 또는 “팔로워”가 존재할 수 있더라도 이러한 관계의 깊이와 진정성은 대면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된 깊은 관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선정된 콘텐츠와 필터링된 이미지의 끊임없는 공격은 친밀감의 겉모습을 흉내 내며 개인이 현실 세계에서 더욱 고립된 감정을 들게 한다.

의사소통의 역학 변화
우리의 의사소통 방식은 기술의 발전과 동시에 막대한 변화를 마주했다. 문자 메시지, 이모티콘, 소셜 미디어 댓글은 현대의 표현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도구는 효율성과 신속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인간 의사소통의 미묘한 차이를 최대한 없앨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화된 번역에서는 미묘한 어조, 몸짓, 표정이 생략되어 사람 간의 관계를 촉발할 수 있는 오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스마트폰이 널리 일상화되면서 개인이 대면 상호작용보다 자신의 기기를 우선시하는 ‘퍼빙(phubbing)’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퍼빙’ 현상은 ‘휴대폰(phone)’과 ‘무시(snubbing)’의 합성어로, 개인의 스마트폰을 우선시하여 실제 대면 상호작용이나 소통을 무시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퍼빙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이 무시당하거나 소통 부족을 느낄 경우, 실제 인간관계의 품질이 감소할 수 있을뿐더러 지속적인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해 실제 대화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대화의 깊이와 의미가 상실될 수 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현실 대신에 가상현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면서, 현실의 순간을 점점 더 즐기기 어려워짐에 따라 개인적인 연결과 삶의 질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친밀감과 프라이버시의 재정의
기술은 우리가 소통하는 방식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친밀감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개념도 재정의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조성된 공유문화는 우리의 개인 생활을 그 어느 때보다 투명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투명성은 연결감을 조성할 수 있지만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의 경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완벽한 온라인 페르소나를 관리해야 한다는 압박은 개인이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욕구와 씨름하면서 진정성의 침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우리가 다른 사람에 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은 신뢰를 약화하고 불안감을 조성할 가능성이 크다. 좋은 의도로라도 추적과 감시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도구는 건전한 관계를 뒷받침하는 신뢰의 기반을 의도치 않게 약화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에 복잡한 인간 관계망을 탐색하려면 초연결 세계에 따른 축복과 도전을 모두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은 의심할 여지없이 사회적 상호 작용의 지평을 확장하여 우리가 전 세계 사람들과 연결되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의 품질, 대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개인정보 보호 및 진정성 침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궁극적으로 핵심은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관계를 대체시키는 것이 아니라 균형을 맞추는 데에 있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