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대출 급증과 연체율 증가
가계대출에 이은 기업대출 및 연체율 증가
[6기 객원 에디터/정채율 기자] 최근, 한국의 기업 대출이 증가하면서 금융시장 위험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기관 기업대출 (산업별 대출금) 잔액은 2분기 말 기준 1,842조 8천억 원으로 1년 전의 1,713조 1천억 원 대비 7.57%, 129조 7천억 원이 증가했다고 한다.
또한, 기업 경기는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에서 환율이 뛰고 유가가 오르면서 수익성 저하로 기업의 이자지급능력이 떨어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부터 오름세를 보였던 기업대출 연체율도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업 부채비율도 2019년 말 84.27%에서 2020년 말 85.75%, 2021년 말 86.43%에 이어 2022년 말에는 92.13%로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기업 부채비율이란,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
신용이 낮은 중소기업에 더 많은 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업권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5.76%로, 전년 말 대비 2.93% 포인트 올랐다. 이 기간 전체 대출 연체율은 전 분기 대비 1.07% 포인트 오른 5.33%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상호금융의 기업대출 연체율도 4.21%로 전 분기 대비 1.98% 포인트 증가했다. 이 중, 새마을금고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 분기 대비 2.72% 포인트 증가한 8.34%으로 매우 큰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기업 부채비율 증가는 빚을 많이 지고 갚는 것이 힘들어지면서 정부나 채권단의 지원을 받아 파산은 면했지만 회생할 가능성이 없는 좀비기업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년 상반기까지 대출 부실화 가능성은 오히려 더 증가할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은행이 기업대출을 늘리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건전성 강화를 위해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한병도 의원은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중소기업과 비은행권 부실 관리를 위한 비상대책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정책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