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홍콩이 붉은색으로 물들고 있다

홍콩… “영국 식민통치를 받았지만 식민지는 아니었다”

영국 총장… 홍콩 입장 “터무니없다”

중국식으로 편집된 역사를 배우는 홍콩 학생들

억압된 정치적 자유와 권리

< Illustration by Haewon Choi >

[위즈덤 아고라 / 김규인 기자] 홍콩 교육 당국은 올해 주권 반환 25주년을 맞은 홍콩이 “영국 식민통치를 받았지만 식민지는 아니었다”라며 중국이 계속 홍콩에 대한 주권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역사 해석을 내놓았다. 

150여 년간 영국의 식민지였고, 거기서 벗어난 것을 매년 7월 1일 기념한 지 올해로 25년이 됐는데 갑자기 “홍콩은 식민지였던 적이 없다”는 것이다. 

홍콩 교육부는 지난 2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홍콩이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었다고 말하는 것은 홍콩이 영국에 의해 점령됐던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는 홍콩의 상태를 설명할 때 ‘식민지’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국은 “우리는 중국이 언제나 홍콩에 대한 주권을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정확히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며 “1842년 이래 영국이 홍콩에서 ‘식민통치’를 했지만 홍콩의 주권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영국은 홍콩이 자치나 독립을 누리도록 허용할 권한이 없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교육국은 “중국은 1997년 7월 1일부로 홍콩의 주권을 회복한 것이 아니라 주권 행사를 재개한 것”이라며 “중국은 언제나 홍콩에 대한 주권을 갖고 있었다”라고 밝혔다. 교육국은 영국이 홍콩을 무력으로 강제 점령해 식민화했기 때문에 과거 청나라와 영국이 체결한 난징조약 등 3건의 조약은 법적 효력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달 공개된 홍콩 고등학교 새 교과서에 실린 내용과도 일치한다.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는 개정된 ‘공민사회발전’ 교과서 4종에는 홍콩은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었다는 내용이 명시됐다.

1992년부터 1997년까지 홍콩의 마지막 영국 총독을 지낸 크리스 패튼 옥스퍼드대 총장은 ‘홍콩은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었다’는 홍콩 당국의 입장에 대해 “터무니없다”라고 일축했다. 

패튼 총장은 지난 6월 홍콩 총독으로 재임했던 시간을 기록한 ‘홍콩 일기’를 출간하면서 “이 책이 내가 (홍콩에) 존재했고 내가 상상 속 가공의 인물이 아님을 증명한다”며 “과거 중국 황제와 독재자들이 했듯 학자들을 묻어버릴 수는 있다. 그러나 역사를 묻을 수는 없다”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홍콩 프리프레스(HKFP)는 지난달 말 현재 최소 3곳의 홍콩 주요 서점 체인이 ‘홍콩 일기’ 판매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25년 전인 1997년 7월 1일, 홍콩은 영국으로부터 중국에 반환되었다. 반환 당시 중국은 홍콩의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를 50년간 보장하겠다는 이른바 ‘일국양제 원칙’을 약속했다. 그 후, 홍콩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매년 톈안먼 사태 추모집회를 열었다.

하지만 국가보안법 시행과 함께 2020년을 마지막으로 톈안먼 시위 추모 촛불 집회가 불허됐다. 경찰이 집회가 열리던 빅토리아 공원을 에워싸고 사람들의 접근을 아예 막아버렸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홍콩 시민들의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가 모두 억압되었다. 

2020년 6월 30일 시행된 홍콩 국가보안법은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를 최고 무기징역형으로 처벌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법 시행 후 200여 명이 국가 안보를 위협했다는 혐의로 체포돼 절반 이상이 기소됐으며 사표를 쓴 홍콩 공무원의 수가 급증하였다. 유엔 인권위원회는 저번 달인 7월 27일, 홍콩의 국가보안법에 대해 폐지를 촉구하기도 했다. 

홍콩의 여러 대학에 세워졌던 톈안먼 시위 기념물들은 철거됐고, 공공도서관에서는 관련 서적이 치워졌다.

또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7월 1일 홍콩 주권 반환(홍콩 정부는 ‘주권 행사 재개’라고 주장하는) 25주년 기념식에서 한 연설 내용을 곱씹는 ‘시진핑 주석 중요 발언’ 학습 세미나가 홍콩에서 60회 이상 열렸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중국의 입맛에 맞게 편집된 역사를 배우고, 사회 각계각층은 시 주석의 말씀을 밑줄 쳐 가며 공부하게 됐다. 

홍콩 민주 진영은 “이대로 가면 홍콩에서도 다음 세대는 톈안먼 민주화 시위에 대해 알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으며 홍콩 시민들이 누리던 정치적 자유와 권리는 크게 후퇴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