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4년간 6.25 전쟁 전사자 유품 보존처리 결과를 담은 보고서 발간

52점의 전사자 유품을 7종류로 분류

<『DMZ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유품 보존처리』 보고서 제공 >

[객원 에디터 6기 / 정서영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의 센터장 박종서는 『DMZ 6·25 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유품 보존처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내 6.25 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유품 보존처리는 문화재청과 국방부의 협업에 따라서 2019년부터 추진한 사업이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의 요청에 따라 국립문화재연구원은 2020년부터 매년 전사자 유품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진행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철원 화살머리고지와 백마고지에서 발굴된 전사자 유품 중 보존처리 난이도가 높은 유품 총 625건 1,330점을 대상으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고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2023년에는 전사자의 신원 확인을 위해서 6.25 전쟁 격전지에서 수습된 유품 20건 22점에 대해 비파괴 조사와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번 보고서에는 4년간 보존 처리된 유품 1,352점 중 52점을 선정해 총기, 탄약, 군화, 단추, 개인장구, 개인소지품, 기타 등 총 7종류로 구분하여 과학적으로 보존 처리한 과정을 사진자료와 함께 보고서에 수록하였다. 특히, 무기질(금속)과 유기질(직물, 목재) 유품의 보존처리 방법과 3차원 전자화(3D 스캔) 등의 과학적 조사에 대한 내용도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보고서에 수록된 사례 중 화살머리고지에서 출토된 ‘숟가락’은 보존처리 과정에서 현미경 관찰을 통해 6군데에서 신원 추측이 가능한 특정 글자와 표식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손잡이 부분에 소유자의 이름으로 추측되는 글자 3개가 쓰여있었는데 첫 번째 글자는 이, 두 번째 글자는 일, 단, 긍, 장 등 여러 안으로 추측되며, 세 번째 글자는 숟가락의 너비가 좁아지면서 판독이 어렵긴 하나 보존처리를 통해 신원 확인의 단서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앞으로도 근.현대 문화유산의 과학적 보존처리와 조사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간하여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