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은 왜 공휴일일까?
[객원 에디터 3기/ 김민채 기자] 현충일이란 국권회복을 위하여 헌신·희생하신 순국선열과 전몰호국용사의 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기리고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생긴 국경일이다.
국가가 존재하면서 전쟁을 겪게 되며, 모든 국가는 그 전란에서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년 8월 정부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한국전쟁을 맞았고 이에 40만 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였으며 백만 명에 달하는 일반 시민이 사망하거나 피해를 입었다.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난 1956년 4월, 정부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였고, 이 날은 조기 게양을 한다. 국기를 조기로 게양할 때에는 깃면을 깃봉까지 올린 후에 깃면 너비만큼 다시 내려서 달고, 강하할 때에도 깃면을 깃봉까지 올렸다가 내린다.
현충일을 6월 6일로 제정한 이유로, ‘6월은 6·25 사변일이 들어있는 달이고, 24절기 중의 하나인 제사를 지내는 망종이 6월 무렵이며, 1956년의 망종이 6월 6일이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일반적이다. 1975년 1월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면서 ‘현충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82년 5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법정기념일에 포함되었다.
올해 현충일 행사에서 윤 대통령은 추념사를 통해 “지금 이 순간에도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은 고도화되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하고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의 가치를 추구하는 위대한 대한민국은 조국을 위해 헌신한 이들의 희생을 가치 있게 만들 것”이라며 “영웅들의 용기를 국가의 이름으로 영원히 기억하겠다”라고 말했다.
‘대한민국을 지켜낸 당신의 희생을 기억합니다’라는 주제로 열린 올해 현충일 추념식은 국가유공자와 유족, 정부 인사와 시민 등 5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 오전 10시 정각 사이렌 소리와 함께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전국 동시 ‘추모 묵념’을 시작으로 애국가 제창, 헌화·분향,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 국가유공자 증서 수여와 추념사, 추념 공연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