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팬데믹 영향으로 작년 사교육비 23.4조 ‘역대 최대’

사교육비 지출 총액 23조 4천억원… 역대 최대

월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 자녀 10명 중 8명 사교육 받아

“학습 결손 보완 차원에서 대응방안 더욱 확대해 추진할 예정”

< PIXABAY 제공>

[위즈덤 아고라 / 우연주 기자] 2021년 사교육비 지출과 참여 수준은 총액이 23조 4천억 원으로 2007년 조사 시작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백신 접종, 방연 관리체계 내 대면활동 확대 등에 따라 반등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코로나19에 따른 학습 결손을 사교육으로 메우려는 움직임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일반교과 사교육 중 유료 인터넷 및 통신강좌 등 온라인 관련 사교육비 증가율이 (2019년 0.7만 원에서 2021년 1.3만 원, 76.1% 증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대면활동이 제한된 교육환경에서 접근성이 높은 사교육 유형에 대한 선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가구의 소득 수준별 월평균 사교육비를 보면 800만 원 이상은 59만 3000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2.8% 늘었다. 같은 기간 200만 원 미만은 12.8% 증가한 11만 6000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에 800만 원을 넘게 버는 가구의 평균 사교육비가 월 소득이 200만 원 미만인 저소득층 가구보다 5배가량 많은 액수다. 또한, 성적이 상위 10%인 고등학생의 경우 10명 중 7명 이상이 사교육을 받았고, 약 53만 원에 달하는 돈을 썼다. 부모의 소득이 많을수록 자녀 사교육 참여율도 높았는데, 800만원 이상 구간이 86.0%로 가장 높았고, 200만원 미만은 46.6%로 가장 낮았다. 이 2구간의 격차는 39.4%포인트(p)로 1년 전에 비해 1%p 감소했다.

교육부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교육결손과 사교육 증가에 대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등교를 통한 대면 수업으로 학사 운영 정상화를 통해 수업 결손을 최소화 하며, 대체수업 시 즉각적으로 해당 학생에게 스마트기기를 지원하는 등 원활한 온라인 수업을 유지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학생들의 학습결손 해소를 위하여 방과 후 또한 방학 중 현직 교사가 교과를 보충하는 프로그램을 확대할 것이다. 

취약계층 및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할 것이며, 교육급여 보장 수준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며 저소득충 학습 특별지원금 (연 10만 원)을 한시적으로 추가 지원해 도서 구입과 인터넷 강의를 지원할 것이다. 

이에 더해 학생의 개별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처방이 가능한 인공지능 적용 시스템을 과목별로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장홍재 학교혁신정책관은 “교육 회복 종합방안이 (조사 기간 전인) 작년 9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추진돼 이번 통계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라며 “코로나로 인한 학습 결손을 보완한다는 차원에서 진행 중이므로 올해 더욱 확대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