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년, 국내기업 K-자형 양극화 뚜렷
매출액 상하위 20% 기업간 영업이익 격차 전년비 674억원 증가
기업들 코로나 충격 여전, 기업활력 제고 위한 정책지원 강화 필요
[ 위즈덤 아고라 / 전시현 객원기자 ] 2020년 코로나19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거둔 성적표는 기업규모별, 업종별로 뚜렷이 명암이 갈렸다. 일명, K자형으로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 충격 이후 세계 경기는 코로나 확산으로 급락했다가,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과 각종 경기부양책으로 어느 정도 반등했다. 하지만 일시적 반등 이후 글로벌 경제는 양극화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특히, K자형은 진정한 회복(recovery)이라고 할 수 없으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걸쳐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국가의 경제 건전성(economic health)을 위협하는 장기 리스크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코스피 및 코스닥 비금융 상장 기업 1,017개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상장사 영업이익이 24.9% 증가했음에도 상장사 4개 중 1개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 상·하위 20% 기업 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격차가 확대된 가운데, 업종별로도 의료·제약, 전기·전자 등 코로나 수혜업종과 유통 및 대면 서비스 등 피해업종의 명암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영업이익이 증가한 업종 내에서도 상위 3개 기업이 업종 전체 영업이익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K-자형 양극화] 영업이익 늘었지만, 상장사 4개 중 1개는 이자도 못 내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 매출액은 1,076.1조 원으로 2019년 1,093.0조 원 보다 16.9조 원(△1.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19년 53.9조 원 보다 24.9% 증가한 67.3조 원을 기록했다. 2020년 영업이익은 2019년에 비해서는 크게 증가했으나, 2018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보인다.
영업이익 증가가 코로나 수혜업종과 일부 기업에 집중되면서 기업 간 K자형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장사 매출액 5 분위 배율은 2019년 266.6배에서 2020년 304.9배로 확대되었다. 매출액 상·하위 20% 기업 간 평균 영업이익 차이도 2019년 2,386억 원에서 2020년 3,060.2억 원으로 674.2억 원(28.3%) 늘어났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기업의 수는 2019년 249개에서 2020년 255개로 6개 늘어났다. 이는 상장기업의 25.1%에 해당한다.
[업종별] 영업이익 증가율, 의료·제약 125.7% vs 기계 △72.8%
K자형 양극화는 업종별로도 뚜렷했다. 코로나 진단키트 등에 대한 수요 증가로 지난해 의료·제약업종은 영업이익이 2019년 대비 125.7% 급증했다. 전기·전자(64.0%), 음식료(27.4%), 소프트웨어·인터넷·방송서비스(18.6%) 등 비대면화 수혜 업종의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반면, 유통 및 대면서비스(△26.4%), 사업서비스(△39.1%) 등 서비스 업종과 기계(△72.8%), 운송장비(△38.7%), 철강·금속(△37.8%), 화학(△27.1%) 등 전통 제조업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2019년에 비해 줄어들었다.
[업종 내 양극화] 업종별 상위 3개사가 영업이익 증가분의 60% 이상 차지
업종 내에서도 기업 간 쏠림현상이 뚜렷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10% 이상 증가한 7개 업종(‘기타’ 업종 제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각 업종별 영업이익 증가분 중 상위 3개사의 비중이 62.7%에서 최대 191.8%까지 나타났다.
전기·전자 업종에서는 기업 수 기준 1.9%에 불과한 상위 3개사의 영업이익 증가분이 ‘업종 전체’ 영업이익 증가분의 91.0%를 차지했다. 운수·창고 (상위 3개사 비중 191.8%), 비금속( 175.0%)은 상위 3개사를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오히려 줄어들 정도로 업종 내 양극화가 심각했다.
대다수 기업들은 코로나로 인한 충격을 여전히 느끼고 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상장사 실적이 양호해 보이지만, 아직도 많은 기업들은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라면서, “기업활력 제고를 위해 규제개혁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요구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