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한 교육의 벽
저소득 가정 교육의 기회 또한 위협받다
[ 객원 에디터 1기 / 이서진 기자 ] 작년 2020년 4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우려로 인해 등교 및 대면 수업이 지연되는 상활 속에서 정부는 확산 방지와 학사일정을 모두 고려하여 온라인 개학을 방안으로 꺼내 들었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온라인 개학이 진행되었으며, 학교에서는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활용하는 비대면 수업이 자리 잡았다.
대안으로 제시된 온라인 수업의 가장 큰 우려는 바로 가정환경의 소득 수준에 따른 교육 격차였다. 온라인 개학이 진행된 현시점, 우려한 바와 같이 경제적 여건이 교육을 제한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큰 이유는 가정환경이 좋지 못한 학생들의 경우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할 때 필요한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소유하지 못한 경우가 잦으며, 그에 따라 수업을 받기 힘든 상황에 놓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코로나 사태로 인해 경제적인 여건이 교육의 장벽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지대해진 것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스마트기기가 없는 초.중.고 학생은 전체 540만 명 중 17만 명이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19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보고서는 핸드폰 외 스마트기기를 포함한 가구가 전체의 71.71%라고 한다. 즉 10가구에서 3가구는 컴퓨터나, 태블릿 등이 없는 것이다. 또한 지역별 스마트기기 보유율의 격차도 크다. 전남, 경남, 강원, 경북은 컴퓨터 보유율이 60% 이하로 타 수도권 지역에 비해 확연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집에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가 있다는 가정하에도, 재택근무로 인해 컴퓨터를 써야 하는 가족 구성원이 늘어남에 따라 가구원 수만큼 많이 소지하고 있는 전자기기로 수업을 들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2017년 한국 미디어 패널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 보유율을 90% 초반으로 나타나지만 초등학생은 고학년은 70% 초반, 저학년은 30% 중반 정도의 결과가 나타났다. 즉 초등학생 저학년 학생들은 10명 중 3명이 핸드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개인 소지 전자기기로 수업을 들을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나온 것이 국육부 기기 지원이다. 하지만 교육부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는 13만 대이며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540만 명인 점을 감안한다면, 턱없이 부족한 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기기 미 보유학생들을 주요 대상으로 설정해도 약 20만 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따라서 교육부 차원에서 스마트기기를 대여하는 방안 또한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몇 사립학교에서는 온라인 수업으로 절감된 학교운영비로 학생들에게 크롬북, 태블릿 등을 배급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특수한 경우이며 이 또한 소득의 격차가 교육의 격차로 이어진다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스마트기기 소지와 관계없이 그 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조력자의 부재 또한 문제시되고 있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교사 홍모씨에 따르면 “초등학교 학생들은 컴퓨터를 지원해준다고 해도 어른이 옆에서 도와주지 않으면 어려울 수 있다”며 교육격차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즉, 저학년의 경우 스마트기기 사용법을 모르기에 주변의 직접적인 도움이 없다면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드디어 한국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지 1년 그리고 37일 만에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하루빨리 백신 보급이 풍부해져 전국의 학생들이 더 이상 온라인 수업이 아닌 오프라인 수업을 할 수 있는 날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