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의 유래와 코로나로 바뀐 추석의 모습
비대면 추석모임
언택트 명절보내기 프로그램
추석의 뜻깊은 유래
[객원에디터 2기 / 김소현 기자] 추석이란 음력 8월 15일에 치르는 행사로 설날과 더불어 한국의 주요 연휴이자 명절이다. 추석을 다른 말로 한가위라고도 부르는데 ‘한’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를 뜻함으로 8월 한가운데 있는 가장 큰 날이라는 뜻이다. 추석에는 가을 추수를 끝내기 전 덜 익은 쌀로 만든 별미 송편이나 햇과일 등등을 진열하고 조상님께 감사하다는 마음으로 차례를 지낸다.
추석의 유래는 가을을 축하한다는 원래 의미에서 수확, 발해 승리를 축하한다는 의미가 더해졌다. 가을은 농경민족인 우리 민족의 조상님들이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들이 익어 수확을 거둘 중요한 계절이다. 추석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신라에 이미 행해졌던 걸로 보아 삼국시대 이전에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신라의 제3대 왕 유리 이사금 때 벌인 적마 경기에서 비롯됐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한가위 한 달 전에 베 짜는 여자들이 궁궐에 모여 두 편으로 나눠 베를 짜고 한가윗날 베를 짠 양으로 승부를 가린 후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춤과 음식으로 대접했다고 전해진다. 또 일본 승려 엔닌(圓仁)이 쓴 여행기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신라가 발해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8월 보름을 명절로 삼았다는 기록에 유래되었다. 당시 백성들이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즐겼다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신라 때 이미 8월 보름인 한가위를 명절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석은 보통 온 가족이 모여 시간을 보내며 축하하는데 코로나19로 인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어려움이 있었다. 지난해 코로나19 이후 두 번째 추석이지만 여전히 코로나 상황이 호전되지 않았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일가친척이 모두 모일 수 없다. 추석 연휴 기간에는 접종 완료자 4인을 포함해, 최대 8명까지 가정 내 모임 가능하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온 가족이 만날 수 없자 다양한 비대면 추석 문화가 떠오르고 있다. 가족 간의 만남이 제한되면서 온라인 성묘나 차례와 같은 새로운 문화가 나타난 것은 물론 비대면 상품의 인기에 힘입어 이색 선물세트까지 등장했다.
올해 추석 명절 ‘비대면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고향집에 방문하지 못하는 아쉬운 마음을 달래기 위한 선물세트의 판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벌초 대행 서비스 이용도 증가하고 있는데 벌초 대행은 봉분의 벌초를 직접 하지 않고 대리인을 구하듯 업체를 선정해 벌초를 해주는 행업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추석 명절을 앞두고 집안 장정 여럿이 여름 장마 등에 하늘 높이 자란 조상묘의 풀을 깎아왔으나 올해 추석 역시 어려울 것으로 보여 농협에서 추진 중인 ‘벌초 대행’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정부도 코로나19로 고향방문이 어려운 가족·친지들의 비대면 추석 모임 활성화를 위해 ‘언택트 명절 보내기 프로그램’을 지원하였다. ‘언택트’는 접촉하다’란 의미의 ‘Contact’에 부정적인 의미 ‘un’을 합친 말로 사람과의 접촉을 기술로 대체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언택트 프로그램에서는 우선 추석 연휴(9월 18~22일) 동안 영상통화를 무료로 지원했고, 디지털 배움터에서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차례 지내기’, ‘어플 활용 용돈·선물 보내기’ 등 비대면 소통 방법 교육을 진행했다.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는 17일부터 26일까지 추석 연휴 기간 집에서 즐길 수 있는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비대면 공연·전시·행사 등을 통합안내하는 ‘집콕 문화생활 추석 특별전’을 운영했다. 지난해 3월부터 ‘집콕 문화생활 페이지(http://www.culture.go.kr/home)’를 통해 국립·공공기관이 보유한 비대면 문화예술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추석·설과 연말연시에 특별전을 운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