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IAEA에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에 적극 검증 당부
정부, IAEA와 화상협의 끝에 후쿠시마 문제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기준치의 5배에 달하는 방사능 우럭 잡혀
[ 위즈덤 아고라 / 임서연 기자 ] 우리나라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관련하여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분 전 과정에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투명성 확보 및 안전성 검증 문제 등에 대해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IAEA 측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중요성을 잘 이해하고 있다며 독립적인 국제기구로서 오염수 처분 관련 모든 결정과 조치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 및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두 가지 노력을 이뤄 나갈 예정이다. 그중 첫째는 일본이 국제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환경 기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둘째, 국제 사회가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 나갈 예정이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일어난 7등급 원자력 사고이다. 당시 1~4호기 원자로 지하가 침수되었고 나중엔 1, 2, 3호기 각각에서 방사능이 누출되었다. 이 사고로 인해 원전 가동을 멈춘 후쿠시마 원자로에는 아직도 1천 톤이 넘는 핵연료가 열을 방출하고 있으며 열기가 높아진다면 또 다른 폭발로 이어지기 때문에 계속해서 냉각수가 투입되어야 한다.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현재 약 1000개에 달하는 대형 탱크에 110만t 이상의 오염수가 저장돼 있다. 이 오염수는 하루 평균 약 170t씩 증가해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오는 2022년이면 더 이상 보관할 공간이 없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냉각수가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후쿠시마 오염수이며 현재까지 123만 톤이 넘는 양으로 늘어났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위험한 이유는 바로 세슘-137 원소 때문이다. 이 동위원소는 방사선 치료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기도 하지만 원자력 발전소 사고나 핵무기 실험에서 생기는 방사능 오염 물질 중 가장 위험성이 큰 원소이다. 원자의 방사성 성질은 그 원자가 이온이 되거나 화합물을 만들어도 변하지 않으며 세슘-137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암에 걸릴 위험성이 커지며 노출된 정도가 크면 화상을 입고 사망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 일본은 오염수를 희석하여 해양에 방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관방 장관은 지난 1월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 작업을 위해 오염수 처리를 미룰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오염수가 방류되면 1년 안에 우리나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한편 지난 2월 13일,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규모 7.3 지진 영향으로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탱크 53대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 NHK 보도에 따르면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최근 지진으로 원전 내 1074대의 오염수 저장탱크 중 53대가 원래 위치에서 3~19cm 정도 움직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탱크 내 물이 새지는 않았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23일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시험조업으로 잡은 우럭에서 일본 정부가 정한 식품 허용 한도인 1kg당 100베크렐의 5배에 달하는 500 베크렐의 세슘이 검출되었다. 이는 후쿠시마현 어업협동조합연합회의 자체 기준보다는 10배가 더 많으며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잡은 수산물에서 정부 기준을 초과한 방사능 물질이 검출된 것은 2019년 2월 이후 2년 만이다.
앞서 도쿄전력은 원전 3호기 내 설치된 지진계 2대가 고장 났는데도 수리하지 않고 반년 이상 방치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논란을 일으켰다. 이번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도 지진계가 고장이 나서 어떤 데이터도 기록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