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자존감과 열등감의 그 사이

자존감과 열등감의 밀접한 관계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자존감 향상 방법

자존감을 높이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

< Illustration by Yeony Jung 2006(정연이) >

[객원 에디터 8기 / 임지나 기자] 자존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자신의 가치와 존재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뜻한다. 자존감이 높을수록 사람은 자신에게 더 많은 자신감과 기대를 가지며, 사회적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열등감은 자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감정으로,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거나 다른 사람과 비교할 때 발생하는 부정적인 감정이다.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은 종종 자기 비하적인 태도를 보이며, 이러한 감정은 개인의 정신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존감과 열등감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자존감이 낮으면 열등감을 느끼기 쉽고, 열등감은 자존감을 더욱 낮추는 악순환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자신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자신의 부족함을 느끼게 되면 자존감이 떨어지고, 자존감이 낮아지면 다시 열등감을 느끼는 패턴이 반복될 수 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강점이나 장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만들고, 계속해서 자신을 비교하고 비판하는 악영향을 끼친다.

열등감은 특히 사회적 비교에서 자주 발생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SNS와 미디어를 통해 이상적인 이미지나 성공적인 삶의 모습을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종종 현실과는 다른 왜곡된 모습을 보여주며, 이를 기준으로 자신을 평가하는 사람들은 종종 열등감을 느끼게 된다.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에서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 열등감은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가 반드시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는 각기 다른 삶을 살고 있으며, 자신의 속도와 방식으로 성장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다.

열등감으로 인해 생기는 안 좋은 예시로는 우리가 잘 아는 악플이 있다. 악플러는 온라인에서 타인을 괴롭히는 이들로, 그들의 동기는 ‘낮은 자존감과 인정 욕구’로 설명된다. 과잉 보상을 통해 열등감을 극복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이를 타인에게 비난으로 표출한다. 뇌 과학자들은 악플이 혐오 감정을 자극하고, 이를 통해 심리적 쾌감을 느끼는 현상도 설명한다. 반복적인 악플은 죄책감의 둔감화와 중독을 유발하며, 결과적으로 뇌의 기능을 저하시킨다. 악플은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뇌에 ‘흉터’를 남긴다. 

열등감을 극복하려면 자존감을 높여야 한다. 자존감이 높을수록 타인과의 비교에서 벗어나 자신의 가치를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자신의 장점을 인식하고, 작은 성공이라도 자랑스러워하며 자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자기 자신과의 비교를 멈추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는 자신에게 불필요한 열등감을 유발할 뿐이다.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고 그에 맞추어 성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실패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실패는 성장의 일환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배우는 자세를 가지면 자존감이 자연스럽게 향상된다.

최원호 박사의 ‘나는 열등한 나를 사랑한다’라는 책에서는 열등감을 부정하거나 숨기기보다는 이를 인정하고 다루는 것이 행복으로 가는 길임을 강조한다. 알프레드 아들러의 이론에 따르면, 열등감은 인간이 더 높은 수준의 발달을 추구하게 만드는 중요한 동력이다. 저자는 열등감을 숨기고 부정하는 대신, 그것을 받아들이고 성장의 원동력으로 삼을 때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고 말한다. “나를 알아주는 사람 없어도 괜찮아. 조금 부족하지만 이대로도 충분해”라는 마음가짐을 통해, 우리는 열등감을 발전을 위한 도구로 삼을 수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이 책은 열등감을 사랑하고 그것을 삶의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법을 전하며, 개인의 삶에 변화를 일으키고 더 높은 품격을 갖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멘토 역할을 한다.

자존감을 유지하는 전략으로는 자기 고양적 믿음(self-serving belief), 사회적 비교, 투사된 영광 누리기(basking in reflected glory), 자기 확인(self-affirmation) 등이 있다. 에이브러햄 테서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서로 보완적이고 호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존감에 타격을 입은 사람은 친구의 성과를 “운”이라고 믿거나, 자기 확인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자존감에 위협을 느낀 참가자들이 친구에게 더 어려운 힌트를 주는 반면, 자기 확인을 한 참가자들은 그런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자존감을 높이려 친구를 끌어내리기보다는 자신의 중요한 가치를 떠올리며 자아를 확인하는 방식이 정신적 건강에 더 이롭다. 친구의 성공에 대해 기죽기보다는 그들의 성취를 자랑스럽게 여기며 자존감을 유지하는 것이 더 긍정적이다. 이처럼 자아를 확인하고 중요한 가치를 되새기는 방법은 자존감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비교적 덜 파괴적인 방식으로 성숙한 자아상을 만들어가는 데 도움을 준다.

결론적으로 자존감이 높아지면, 사람은 자신감 있게 생활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열등감을 극복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열등감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초래하지만,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은 결국 자존감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자신을 존중하고, 긍정적인 태도로 자신을 바라보며 성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열등감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자존감과 열등감은 서로 밀접하게 얽혀 있으며,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열등감을 극복하는 열쇠이다.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멈추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결국 자아를 존중하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길로 나아가게 된다. 자존감이 높아지면, 열등감은 자연스럽게 사라지며, 우리는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