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위즈덤 네이처] 범죄자의 뇌는 일반 사람들의 뇌와 어떻게 다를까?

<Illustration by Yujeong Lee (이유정)>

[ 위즈덤 아고라 / 하민솔 기자] 많은 사람들은 살인자들의 신상이 공개될 때 혼란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우리의 상상과는 달리 살인자들은 우리가 일상에서 그냥 지나칠 법한 평범한 얼굴을 가지고 있거나 매우 호감형으로 생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럼 도대체 범죄자들은 일반 사람들과 뭐가 다르기에 범죄를 저지르는 것일까?

이에 대해 과학자들은 범죄자들의 뇌가 일반 사람들과 다르다는 연구를 끊임없이 발표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결과를 들여다보면 범죄자들은 대게 전두엽 쪽에 문제가 있다. 전두엽은 사고력과 감정, 문제해결 등을 관장하며 정보를 조정하고 행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높은 사람의 성격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 세 가지 성격 유형을 ‘다크 트라이어드’라고도 부르며 나르시스트, 사이코패스 그리고 마키아벨리즘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이 다크 트라이어드의 성격 유형을 가지고 있다면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높다고 한다. 물론, 다크 트라이어드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모두가 범죄자가 되지는 않는다. 

먼저 나르시스트의 뇌를 들여다보자면 일반 사람의 뇌와 비교했을 때 섬엽 (Insula) 부위에 차이가 있다. 섬엽은 자기 인지와 조절과 관련되있는 뇌의 한 부분이다. 몸에서 올라오는 신호들을 섬엽이 모아서 정리를 한다. 나르시스트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섬엽에 있는 회색질이 일반 사람들보다 더 앏다고 알려져있으며 섬엽 부위 전체가 일반 뇌보다 더 작다고 한다. 

사이코패스의 경우, 일반 사람들의 뇌보다 복내 측 전 전두엽 (vmPFC)과 편도체 (Amygdala) 사이의 연결이 약하다. 복내 측 전 전두엽은 감정적 흥분을 필터링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편도체는 우리의 감정을 좌우하며 특히, 무서움과 두려움 그리고 불안함의 감정을 담당하고 있다. 복내 측 전 전두엽과 편도체 사이의 연결이 약하다는 뜻은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사람이 판단을 내리는 데에 있어서 겁이 없어지거나 두려움과 불안 신호가 잘 전달이 되지 않는다는 뜻이거나 자기조절을 하는데에 있어서 남들보다 더 조절 가능하지만, 자신의 감정과 딴 사람의 감정을 느끼는 것보다 상관관계가 덜하다는 뜻일 수도 있다. 때문에 사이코패스들은 타인의 아픔과 고통보다는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판단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마키아벨리즘적 성향을 가진 사람의 뇌와 일반 사람의 뇌의 차이는 전 전두엽에 있었다. 마키아벨리즘이란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라면 다른 사람도 조종하고 가스라이팅을 하여 자신의 목적을 달성한다. 마키아벨리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권력욕과 지배욕이 강하다. 마키아벨리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배외측 전 전두엽(dIPFC)에서 차이가 보였다. 배외측 전 전두엽은 가장 높은 선택의 영역이라고도 불리며 최종 선택에 관여, 즉 뭐가 중요한지, 어떤 것을 해야 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윤리적인 판단과 감정적 선택에 역할을 하고 있다. 

범죄자들의 재범률 또한 뇌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뇌의 중앙 앞쪽에 위치한 전측 대상피질 (Anterior Cingulate Cortex)은 스트레스 컨트롤, 충동 조절과 주의 집중을 담당하고 있는 뇌의 부위다. 이곳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사람들 중에 범죄자가 될 확률이 높았던 사람들이 많다. 주의 집중 중 정서불안 부주의, 즉, 쾌감을 주는 자극에만 주의가 집중되는 형태의 성향을 보였다. 또한 전측 대상피질에 차이가 있었던 범죄자들은 일반 범죄자에 비해 범죄 재범률이 두 배였다. 

또한 사이코패스의 뇌를 들여다보면, 전두엽의 전체적 기능이 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의 뇌는 전두엽이 거의 활동을 하지 않으며 때문에 공감 능력도 저하된다고 한다.

< tvn ‘알쓸인잡’ 8회 괴물같은 인간 중 화면 갈무리 >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신경과학을 가르치던 교수인 제임스 펠런은 사이코패스의 뇌가 갖고 있는 공통 패턴을 뇌 사진을 통해 연구를 하고 있다. 그는 2005년 10월경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유전자 연구를 진행하던 도중, 사이코패스 살인자의 뇌와 아주 똑같은 뇌 사진 한 장을 보게 되었다. 그는 사이코패스 연구에 쓰이던 뇌 사진이 잘못 섞인 줄 알았지만, 나중에 그 사진의 주인공을 알아보니 자신의 뇌 사진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팰런 교수는 그대로 자신 가족의 가계도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기 시작했다. 그 결과 그의 조상들 중에는 근친 살해자들과 학살을 자행한 폭군 등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심지어 미국 역사에 기록된 최초의 모친 살해범인 토머스 코넬과 부모님을 도끼로 살해한 리지 보든 그리고 유대인 수백 명을 처형한 에드워드 1세 등이 자신의 조상이었던 사실을 알게 됐다.

이에 대하여 팰런 교수는 자신의 유전자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그는 전사유전자라고 불리는 MAOA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MAOA 유전자는 공격성, 행복감을 이끄는 뇌신경 물질을 조절하는 유전자다. 짧은 MAOA 유전자(2 R형, 2.5 R형과 3 R형)를 가지고 있으면 공격적인 성향이 있는 전사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한다. 전사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하여 무조건 사이코패스가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공격성에는 영향을 줄 수 있다. 

팰런 교수는 왜 자신이 전형적인 사이코패스의 뇌와 전사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범죄자가 되지 않았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그는 어린 시절 자신에게도 사이코패스의 기질이 있었음을 생각해 낸다. 지나치게 위험한 장난을 하거나 죄책감 없는 거짓말을 하는 등 그에게는 분명히 사이코패스의 기질이 있었다. 하지만 그는 범죄자가 되지 않았다. 

팰런 교수는 사이코패스 범죄자 35명의 어릴 적 가정환경을 조사했다. 그 결과, 70% 이상이 아동학대의 피해자였다는 것을 알게됐다. 우리는 만 3살부터 기억하기 시작하기에 팰런 교수는 그전부터 아동학대를 당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90% 이상이 아동학대 피해자로 추정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실험과 조사를 통해서 ‘세 다리’ 이론을 결론적으로 내렸다. 첫 번째 다리는 뇌 공감 기능의 저하이었고 두 번째 다리는 고위험 유전자 그리고 세 번째 다리는 불우한 성장 환경이었다. 하지만 이 세 개의 조건을 갖췄다고 한들, 무조건 범죄자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팰런 교수는 어렸을 때 유독 따뜻하고 밝았던 가정환경에서 자랐다고 밝혔다. 그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따뜻한 관심 속에 자라났으며 학교에서도 선생님들이 그에게 많은 사회 활동 기회를 제공해 주며 점점 더 밝게 컸다고 말했다. 팰런 교수의 부모님은 미리 어렸을 적 팰런의 사이코패스적 성향을 눈치채고 그에게 좋은 환경에 성장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인지적 공감능력을 키워나갔다. 약사였던 그의 아버지는 장애인과 양조원에 팰런 교수에게 약 배달을 시켰으며 아들에게 공감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이끌어주었다. 그 결과, 팰런 교수는 장애인을 보면 슬픔이라는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비록 팰런 교수는 타인의 감정을 느끼는 감정적 공감을 할 수는 없지만, 인지적 공감, 즉 타인이 어떤 감정을 왜 느끼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타인이 왜 그 감정인지 이해를 하고 인지를 하지만 공감은 할 수 없다. 때문에 팰런 교수는 자기 자신을 “친 사회적 사이코패스, 운 좋은 사이코패스다”라고 표현했다. 

이처럼 다크 트라이어드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 역시 치료를 통해 그 성향을 잠재울 수 있다. 2002년 네덜란드의 한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과 무기질 및 영양섭취를 제대로, 충분히 해주기만 해도 범죄를 저지를 확률과 재범률이 감소했다고 한다. 2018년도에는 10주 요가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은 스트레스 조절법을 배웠다. 그 결과, 다크 트라이어드에 취약한 성향을 보이는 뇌 부위들의 활성도가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때문에 건강한 생활 패턴이나 간단한 운동 같은 것만으로도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특징을 낮출 수 있다.

[위즈덤 네이처] 인간의 심리는 뇌의 다양한 영역과 상호작용하며 형성됩니다. 뇌 과학과 인간의 심리의 밀접한 연관성을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칼럼을 연재합니다. 위즈덤 아고라 하민솔 기자의 ‘위즈덤 네이처’로 뇌과학과 심리학의 세계를 만나보세요.

Leave a Reply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