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주, “환경에 책임 못 지는 패션 기업 벌금 부과할 것”
전 세계 탄소 배출량 10% 패션산업에 의해 만들어져
뉴욕, ‘패션 기업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위한 법안’ 추진
“소재와 자원 절약하는 방향으로 기업의 발달 필요한 시대”
[위즈덤 아고라 / 우연주 기자] 미국 뉴욕의 사회적 및 환경적 책임을 다하지 못한 패션 기업은 벌금을 내게 될 전망이다.
지난 10일, 뉴욕주 상원과 하원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주도로 ‘패션업계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위한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법안은 각 의류업체에 원자재 생산부터 제조, 발송까지 전 과정에 걸쳐 사회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온라인에 공개하도록 의무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동자에게 적절한 임금을 제공했는지, 온실가스 배출량은 얼마인지, 화학물은 어떻게 관리했는지 등이다. 특히 각 업체에는 파리기후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는 의무도 부과될 것이다. 또한, 매년 사용하는 목화와 가죽, 폴리에스터 등 원자재의 양도 공개해야 한다.
법 위반이 드러날 경우엔 연 매출의 2%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이 법안은 본사 소재지와 상관없이 연 매출이 1억 달러(약 1천200억 원) 이상이고, 뉴욕에서 영업을 하는 의류업체들에 적용된다. 루이비통과 프라다 등 유럽의 명품업체 외에도 주요 패스트 패션업체들도 이 법안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트렌디한 의류를 짧은 주기로 생산하는 산업은 패스트푸드에 빗대어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불린다. 한두 번밖에 입지 않은 옷을 쉽게 버리고 구매하는 소비문화가 급부상했고 결국 버려진 옷은 의류수거함이나 종량제 봉투에 담겨 쓰레기로 배출되고 있다.
쓰레기로 버려진 폐의류는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며, 매립지에 묻힌 옷은 이산화탄소나 메탄 등 유독가스를 배출하고, 또 옷을 소각하면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세계적으로 의류 생산에서 폐기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탄소량이 연간 33억 톤에 달하는데, 이는 EU 27개국 전체 탄소 배출량인 35억 톤과 맞먹는다.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10%가 패션산업에 의해 만들어진다.
국내에서도 패션산업의 환경적인 책임을 생각하는 일어나고 있다. 2014년부터 환경부가 주최하는 “내가 그린(Green) 건강한 세상, 착한소비 페스티벌!”을 주제로 한 대한민국 친환경대전 (ECO-EXPO KOREA)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친환경대전은 친환경 상품을 소개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에서 현재는 소비자와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성장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사 영역 중 지속 가능한 패션 영역은 패션 퍼포먼스, 업사이클링 체험, 착한소비 부스 전시 등으로 행사가 진행되었다.
세계적으로도 패션업계에서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에코시텍스라는 기업은 (Ecocitex)는 버려진 섬유와 의류들로 실을 만든다. 2019년 문을 연 이 사회적 기업에선 매주 폐기물 약 1t이 실로 재탄생한다. 그 과정에서 물이나 화학물질은 쓰지 않는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노숙인들에게 털모자 1000여 개를 기부했다.
김익성 동덕여대 교수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를 선택하고, 소재와 자원을 절약하는 방향으로 기업의 전략 수정이 필요한 시대”라며 “정부도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 세제 혜택 등을 주고, 친환경 제품 인증 마크 등을 만들어 ‘착한 소비자’의 선택을 유발할 수 있도록 정책적 리딩을 펼쳐야 한다”라고 조언했다.